사이트 로그인
2016.07.27 07:15
상호작용의 개념에 대한 문의가 많아서 안내합니다.
재활바우처에서 지적 장애, 자폐 장애, 애착 장애 등의 진단이 붙은 아동(즉, DSM-5의 신경발달장애 파트)에게 제공하는 놀이치료는 상담이론 보다는 발달이론, 아동의 본성, 본성의 속도, 신경 가소성, 부모의 역할, 민감성, 반응성 등등의 개념이 접목되어야 합니다.
이러한 내용을 발표한 글이 '놀이치료 패러다임의 변화: 놀이치료사의 역할'입니다.
이 내용은 학회 회원이 아니어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홈페이지(학회지, 2015년 8월)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.